개월 별 모유수유를 어떻게, 얼마나 해야될까?
1. 생후 0~2개월
처음 젖을 물리는 것은 아이의 배고픔을 패결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엄마의 유두 모양을 아이에게 친근하게 하기 위해 먹이는 것이다.
아기들에게 젖을 물림으로써 친근해지도록 계속 시도하고, 애가 배를 고파하면 수유 간격에 상관없이 젖을 물려야 한다.
신상아는 하루 8~12회 정도 횟수는 천차만별로 먹는다.
한번 젖을 먹이는 시간은 10분 정도로, 20분이 지나도 아기가 젖을 물면 젖이 딱딱하여 제대로 못빤다는 것이다.
주의! 한쪽 젖만 물리면 다른 쪽 젖의 분비략이 적어져 번갈아 물리도록 한다.
2. 생후 3~6개월
생후 3개월이 되면 수유 간격을 조금 더 늘리고 규칙적으로 물리도록 한다.
한 쪽 젖에서 10~15분씩, 총 20~30분 정도로 먹이면 충분하다.
엄마의 젖 상태에 따라 다르겠지만 아이의 상태에 따라 조금 더, 덜 먹여도 된다.
수유간격은 3시간 마다 한번 물린다. 다만, 분유는 아기가 소화를 잘 못시켜 3시간이면 되지만,
경험상으로 모유수유를 하는 아기는 소화를 잘시켜 2시간 간격도 했었다.
밤중 수유는 아이의 몸속 소화를 방해하여 모유 수유는 생후 9개월 까지 끈는 것이 좋다.
생후 4~6개월은 수유 간격을 4시간마다 한 번 하고 초기 이유식을 준비하기 시작한다.
이유식은 배를 채우기 위한 시기가 아니므로 한두 숫갈 정도로 한다.
3. 생후 7~15개월
젖꼭지에 상처가 나면 모유가 힘들어지므로 아이 입에 손을 넣어 즉시 중단하도록 한다.
이유식 먹이기 초기에 젖을 먹이기 전에 이유식을 먹이면 아기가 배불러서 충분히 먹지 못한다.
그러므로 수유 2시간 정도 후에 이유식을 먹이는게 좋다.
생후 8개월 이상이면, 이유식 위주로 영양 섭취를 해야한다.
이유식과 수유는 별도로 진행한다.
생후 10개월 경엔 하루 새끼 이유식을 해결한다. 이때 난시간 동안 아이가 먹고 싶을때는 한두번 정도
젖을 먹여도 된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유수유 젖 떼는 방법 (0) | 2023.06.15 |
---|---|
모유에서 분유로 바꾸는 팁! (1) | 2023.06.14 |
모유 수유 트러블 대처 방법!(아이의 증상) (0) | 2023.06.13 |
모유 수유 트러블 대처 방법!(엄마의 증상) (0) | 2023.06.13 |
아빠의 육아 - 럭키 박스 (0) | 2023.06.10 |